22 •
1 APRIL 2022
•
ВОСПИТАНИЕ НОВОГО ПОКОЛЕНИЯ В ЭПОХУ ГЛОБАЛЬ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
RAISING A NEW GENERATION IN ERA OF GLOBAL TRANSFORMATION •
1 APRIL 2022
• 23
2. 국가통계포털 (2017b). KOSIS 100지표, 인구
.
가구, 다문화가구수. http://kosis.kr./nsportalStats/
nsportalStats_ 0102Body.jsp?menuId=10&NUM=1032
3. 권회연, 이미숙, 전병운 (2010).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문헌 분석. 한국
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지 중복
.
지체부자유연구, 53(4), 283-306.
4. 김영란 (2012). 특수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행동과 개별화교육 목표 성취 및 학생
행동관리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.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서울.
5. 김태영 (2014). 장애위험 및 장애영아 대상 국내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. 유아특수교육연구, 14(2), 75-98.
6. 김향은 (2007). 다문화 부모교육의 현황과 과제: 학교중심 다문화 부모교육을 중심으로.
문화예술교육연구, 2(2), 33-44.
7. 김현숙, 이병인 (2015).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계획, 실행, 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
고찰. 유아특수교육연구, 15(3), 109-126.
8. 박미단, 성순옥, 김영희 (2013). 다문화 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특성 비교.
미래유아교육학회지, 20(2), 83-103.
9. 박점자 (2015). 다문화 가정 의 가족기능이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.
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, 15(6), 247-258.
10. 방소영, 황혜정 (2011). 가정형태에 따른 유아의 발달수준 비교 연구: 다문화
.
저소득
.
일반가정의
유아를 대상으로. 육아정책연구, 5(2), 1-22.
11. 박현옥 (2009). 0-2세 장애 영아의 조기중재 실행요소 및 전문가 자격 기준에 대한 질적 연구.
유아특수교육연구, 9(2). 117-139.
12. 박휴용 (2016). 다문화교육론. 서울: 동문사.
13. 봉귀영, 이소현 (2013).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 중심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내 자폐
범주성 장애 유아의 모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. 특수교육학연구, 47(4), 113-138.
14. 배성현, 손가화, 이병인 (2015).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한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어려움과
지원요구. 유아특수교육연구, 15(1), 43-71.
15. 여성가족부 (2016). 연도별 다문화 가족 통계, 연도별 결혼이민자 및 인지
.
귀화자 현황,
외국인주민현황조사. http://www.mogef.go.kr/mp/pcd/mp_pcd_s001d.do;jsessionid=-
Ik07AaStu4crU+Z6al6Yxg3.mogef10? mid=plc503&bbtSn=704742
16. 오만록 (2016). 교육과정론. 서울: 동문사.
17. 오소정, 김영태, 김영란 (2009). 서울 및 경기지역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특성과 관련변인에 대한
기초 연구. 특수교육, 8(1), 137-161.
18. 오소정, 박소현 (2014).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언어평가 및 언어치료
.
촉진교육의 실제. 특수교육, 13(3),
249-271.
19. 유수옥 (2013). 특수유아교육. 서울: 창지사.
20. 이상희, 이연우 (2015). 다문화 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한 중재실행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.
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, 16(2), 465-491.
21. 이상희, 이연우 (2016). 다문화 가정 장애위험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육지원에 관한 보육교사 인식
연구. 특수아동교육연구, 18(2), 19-44.
22. 이상희, 이영 (2017). 다문화 가정 장애 위험 아동의 조기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-언어
영역과 사회성 영역을 중심으로. 특수아동교육연구, 19(1), 1-15.
23. 이신동, 김진호, 이상희, 이경숙, 차재경, 황은진, 주소영 (2017). 다문화 가정과 부모교육. 서울:
창지사.
24. 이지희, 박혜원, 안동현, 이현주 (2016).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를 위한 인지조기중재 프로그램의
개발과 효과 분석. 인지발달중재학회, 7(2), 1-24.
25. 이효림, 정정희 (2015).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.
열린유아교육연구, 20(1), 255-288.
26. 송인섭 (2004). 자아개념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. 교육평가연구, 17(2), 1-25.
27. 신미주 (2008).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다문화 가정 발달지체 유아의 요구하기 표현 언어에 미치는
효과. 미간행 석사학위논문,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, 경기.
28. 전병운, 홍은숙, 김영희 (2005). 발달장애 영
.
유아를 위한 활동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.
유아특수교육연구, 5(5), 124-160.
Do'stlaringiz bilan baham: |